바쁜 일상에서 지나온 날을 돌아볼 수 있었고 퀴어 프랜들리한 환경에서 편안하게 내담할 수 있었습니다. 

나아가 사회적인 나와 퀴어적인 나에게 좀 더 도움될 수 있는 영향을 경험했습니다.



겉으로 따뜻한 척이 아닌 속으로 따뜻해지는 경험을 했습니다.



살면서 처음으로 멈추었다 갈 수 있는 시간을 만들었습니다.



내가 겪고있는 심리적 불안의 원인을 알게되었고 개선과 새로운 다짐을 하게 만들어줬습니다.



피로감에서부터 오는 예민, 강박, 잘 알지 못했던 분노에 대해 되짚어볼 수 있었고 그 이유에 대해 정리된 생각을 인식할 수 있었습니다.



다들 차별과 혐오에 맞서 싸우느라 고생이 많아요.



사실 어떤 집단이건 마음건강은 너무 중요한데 특히 성소수자는 어릴때부터 소수자 스트레스 등의 환경에 노출되어 더욱 필요한거 같아요.



집단 상담 같은 프로그램으로 여러사람과 함께 5-6회정도 지속적으로 하는 것도 좋겠다고 생각해요.



"왜 그렇게 생각하게 되었을까요?", "분노를 멈출 수 있는 버튼이 있다면 어느 순간에 누를 수 있었을까요?" 라는 질문이 인상적이었고 평소 생각 정리가 어려운 저에게 신선하고도 인상적인 요소로 다가왔습니다. 평소에는 듣기 어려운 말이었어요.



평소 여러가지의 고민거리를 가지고

끙끙 앓아왔습니다. 하지만 상담을

통해 조금은 나 자신을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고 조금 더 제 자신을

긍정적으로 볼 수 있게 됐습니다.



스스로의 발걸음에 자신이 없었고, 매번 남들의 눈치에, 남들 얘기에 휘둘리기만 할 뿐, 스스로의 대답을 찾지 못한 채 방황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번 상담을 통해 조금은 이기적이어도 괜찮다고, 내 인생 다른 이가 살아주는 것 아니라는 것을 좀 더 확실히 깨달았습니다. 어쩌면 진정으로 내 안에서 꾸준히 보내고 있는 목소리를 신경 

쓰지 못한 것을 알게됐습니다. 


이제 그 목소리에 좀 더 귀 기울여 살아가보려 합니다.



어쩌면 마음 속 주파수를 제대로 맞추지 못해, 주변 잡음, 사람들 소리, 친구들 소리, 부모님 소리에 헷갈려 자신의 진짜 마음의 소리를 듣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고 했던 말씀이 깊이 인상에 남습니다.



나는 독립적인 사람이라 생각했지만 생각보다 외로움과 격려가 필요한 사람이었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내가 잘못된 게 아니라 환경적인 한계 속에서 최선을 다해 살아왔다는 걸 알게 되었어요.



내가 겪고있는 심리적 불안의 원인을 알게되었고 개선과 새로운 다짐을 하게 만들어줬습니다.



자살로 떠나보내게 되는 사람들이 자주 있는 것 같습니다. 이성애자와 비교해 성소수자로서 받는 스트레스가 큰 것 같습니다.



커뮤니티를 진심으로 생각하는 이런 활동의 방향성 좋습니다~!



일상에서 없던 기회를 마주하고 해결에 다가가려는 생각과 발언을 할 수 있었던 나, 대견해!


2022


바쁜 일상에서 지나온 날을 돌아볼 수 있었고 퀴어 프랜들리한 환경에서 편안하게 내담할 수 있었습니다. 

나아가 사회적인 나와 퀴어적인 나에게 좀 더 도움될 수 있는 영향을 경험했습니다.



겉으로 따뜻한 척이 아닌 속으로 따뜻해지는 경험을 했습니다.



살면서 처음으로 멈추었다 갈 수 있는 시간을 만들었습니다.



평소 여러가지의 고민거리를 가지고

끙끙 앓아왔습니다. 하지만 상담을

통해 조금은 나 자신을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고 조금 더 제 자신을

긍정적으로 볼 수 있게 됐습니다.



내가 겪고있는 심리적 불안의 원인을 알게되었고 개선과 새로운 다짐하게 만들어줬습니다.



피로감에서부터 오는 예민, 강박, 잘 알지 못했던 분노에 대해 되짚어볼 수 있었고 그 이유에 대해 정리된 생각을 인식할 수 있었습니다.



나는 독립적인 사람이라 생각했지만 생각보다 외로움과 격려가 필요한 사람이었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내가 잘못된 게 아니라 환경적인 한계 속에서 최선을 다해 살아왔다는 걸 알게 되었어요.



다들 차별과 혐오에 맞서 싸우느라 고생이 많아요.



사실 어떤 집단이건 마음건강은 너무 중요한데 특히 성소수자는 어릴때부터 소수자 스트레스 등의 환경에 노출되어 더욱 필요한거 같아요.



자살로 떠나보내게 되는 사람들이 자주 있는 것 같습니다. 이성애자와 비교해 성소수자로서 받는 스트레스가 큰 것 같습니다.

 


내가 겪고있는 심리적 불안의 원인을 알게되었고 개선과 새로운 다짐을 하게 만들어줬습니다.



사실 어떤 집단이건 마음건강은 너무 중요한데 특히 성소수자는 어릴때부터 소수자 스트레스 등의 환경에 노출되어 더욱 필요한거 같아요.




스스로의 발걸음에 자신이 없었고, 매번 남들의 눈치에, 남들 얘기에 휘둘리기만 할 뿐, 스스로의 대답을 찾지 못한 채 방황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번 상담을 통해 조금은 이기적이어도 괜찮다고, 내 인생 다른 이가 살아주는 것 아니라는 것을 좀 더 확실히 깨달았습니다. 어쩌면 진정으로 내 안에서 꾸준히 보내고 있는 목소리를 신경 쓰지 못한 것을 알게됐습니다. 


이제 그 목소리에 좀 더 귀 기울여 살아가보려 합니다.




집단 상담 같은 프로그램으로 여러사람과 함께 5-6회정도 지속적으로 하는 것도 좋겠다고 생각해요.

 


커뮤니티를 진심으로 생각하는 이런 활동의 방향성 좋습니다~!

 


일상에서 없던 기회를 마주하고 해결에 다가가려는 생각과 발언을 할 수 있었던 나, 대견해!

 


"왜 그렇게 생각하게 되었을까요?", "분노를 멈출 수 있는 버튼이 있다면 어느 순간에 누를 수 있었을까요?" 라는 질문이 인상적이었고 평소 생각 정리가 어려운 저에게 신선하고도 인상적인 요소로 다가왔습니다. 평소에는 듣기 어려운 말이었어요.

 


어쩌면 마음 속 주파수를 제대로 맞추지 못해, 주변 잡음, 사람들 소리, 친구들 소리, 부모님 소리에 헷갈려 자신의 진짜 마음의 소리를 듣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고 했던 말씀이 깊이 인상에 남습니다.